티스토리 뷰
몸이 아플때는 만사가 다 귀찮습니다.
쉬고 싶고 눞고 싶고 자고 싶은데요
아플때 제때 쉬어야 빨리 회복이 되는것 같습니다.
공무원인데, 아프거나 문제가 생겨서 질병휴직을 하게된다면
공무원 질병휴직 급여 어떻게 될까요?
막상 아프기 전에는 전혀 관심없다가도
일에 닥쳐서 아픈 경우가 되면
허겁지겁 찾게되기 마련입니다.
원칙은 1년 이내이나
1년 기준으로 추가로 연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게다가, 공무상 업무를 보다가
질병이 생긴경우로 인정을 받는다면
급여를 100% 지급받을 수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 정당하게 받으셔야 할일이 발생하였다면
잘 알아보시고
공무원 질병휴직 급여 신청하셔야겠습니다.~~
공무원인 경우, 질병휴직은 최장 3년까지 인정해 주고
1년 이내는 70%, 2,3년은 50%까지 인정해 준다고 합니다.
공무원 질병휴직 급여 대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담당부처에 문의하시는 것이 제일 정확하겠습니다.
실무가 상황에 따라 어떤 것을 적용하냐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겠죠~~
'굿인포메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피린 복용법 제대로 알기 (0) | 2017.01.17 |
---|---|
분만 예정일 계산 정확히 아는건 어찌합니까 (0) | 2017.01.17 |
프로페시아 복용법 어떻게 되나요? (0) | 2017.01.16 |
동사무소 업무시간 언제부터 언제까지 일까요? (0) | 2017.01.15 |
차상위계층 혜택 어떤 것들이 있나요? (0) | 2017.01.13 |
댓글